본문 바로가기
건강 의학 관련 지식

골프와 루게릭병? 사실은 살충제나 독소 등 환경적 요인

by 베프가이 2024. 3. 16.

요즘 건강 관련 기사 첫 제목이 난리입니다. "특정 취미활동, 루게릭 병과 연관", "골프 많이 치면 루게릭병 발병위험 3.8배" 등등. 아마도 우리나라 기자분들 혹은 뉴스매체 AI 로봇이 자동으로 미국의 기사들을 뽑아서 그대로 번역해 기사로 내는 작업을 하기 때문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골프와 루게릭병에 대한 후킹성 기사들이 많지만 사실은 골프 자체가 원인이 아니고 잔디에 뿌려진 살충제에 자주 과도하게 노출된 경우 드물게 루게릭병에 걸릴 수 있다고 해야 정답일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련 기사와 루게릭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골프와 루게릭병? 사실은 살충제나 독소 등 환경적 요인
골프와 루게릭병? 사실은 살충제나 독소 등 환경적 요인

 

[목차]
◇ 루게릭이란?
ALS 발병 연령, 초기증상
골프가 루게릭병의 위험을 높인다?
루게릭 병의 원인은?
개인적인 경험상 루게릭

 

 

루게릭이란?

루게릭?

 

루게릭(Lou Gehig Disease)은 1920년대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선수 루 게릭 선수가 ALS로 진단받은 이후 일반화하여 '루게릭병'이라고 명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의학용어로 ALS(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이라고 합니다. 다른 말로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Motor Neuron Disorder로 진행성으로 운동신경에 신경 퇴행을 가져오는 장애라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진단 후 기대 여명은 2년에서 길게는 5년 정도 보는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스티븐 호킹 박사는 20대 진단받아 76세까지 55년이나 살아온 케이스로 유명합니다. 

 

 

ALS 발병 연령, 초기증상

ALS는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당 2명 꼴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모든 연령에서 걸릴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55세에서 75세 사이 발병하며 초기에는 징후가 너무 약해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ALS, 루게릭의 초기 증상은 보통 미미하게 시작하고 일반적인 증상이나 노화로 쉽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무시하고 넘어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초기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육 경련 Muscle cramps
  • 근육 약화 Muscle weakness
  • 비틀거리며 걷거나 넘어짐 Gait instability
  • 갑작스러운 근육 움직임 Muscle jerking or contracting
  • 씹고 삼키는 연하문제 Chewing or swallowing issues
  • 말할 때 단어를 흘리며 말하고 점진적으로 말하기 어려움 Difficulty speaking clearly

갑작스럽게 옷이나 외투의 단추를 잠그기 어렵고 글씨를 서서히 알아볼 수 없어지며 삼키거나 말을 할 때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한다면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골프가 루게릭병의 위험을 높인다?

 

 

몇 일 전부터 골프와 루게릭병 관련된 기사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저도 골프를 좋아하기에 관심을 갖고 기사 내용을 살펴보았는데요. 

University of Michigan, Medicine
University of Michigan, Medicine

 

출처는 미시간 대학의 의학부 연구논문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연구에서 수영, 골프, 목공, 사냥과 사격, 정원 가꾸기 등에 종사하는 남성들에게서 루게릭(ALS)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특히 골프는 3배 더 큰 위험이 있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골프장 잔디, 정원 등에 뿌려진 '살충제'가 원인일 수 있고, 목공일에 있어서는 나무 접착제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 등으로 루게릭 병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어떤 취미 활동도 루게릭병과 관련 없었다고 말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 대상에 여성의 수가 적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골프를 치면 루게릭에 걸릴 수 있다'라고

자극적인 제목을 실을 수 있는

꺼리를 만들어주었기 때문에

많은 기사들이 발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Golf, and other men's hobbies, drive a 300% increase in ALS risk

Men who engage in recreational activities such as golf, gardening and woodworking are at higher risk of developing ALS, an incurable progressive nervous system disease, a study has found. The findings add to mounting evidence suggesting a link between ALS

newatlas.com

 

 

"특정 취미 활동, 루게릭병과 연관 있을 수도"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운동신경 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치명적인 질환인 루게릭병(ALS: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골프, 원예, 사냥 ...

www.yna.co.kr

 

 

 

루게릭 병의 원인은?

루게릭 병의 원인
루게릭 병의 원인

 

루게릭 병의 원인은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의심되는 원인들로는 독소에 노출되는 환경적 요인과 약 10%에서 발생하는 유전적 요인 등이 있습니다.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신경독소 Beta-methylamino-1-alanine
  • 금속, 방사선, 용매 및 기타 독소 노출
  • 살충제
  • 확인되지 않은 바이러스
  • 군대(전쟁 중 방출되는 독소 노출)
  • 격렬한 운동을 하는 스포츠 선수들(미식축구, 프로야구 등)

루게릭 발병 원인에 대한 가설들은 이전부터 있어왔었고 이번 미시간 대학 연구에서는 400명의 루게릭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연구에서 취미활동으로 골프를 쳤던 사람이 많았다는 것이 이슈화되면서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상 루게릭

사실 경험상(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루게릭 환자들을 1년 이상 재활치료한 분들이 한 5분, 단기 입원치료로 운동 교육이나 호흡재활 등은 몇 건 더 있었습니다.) 보통 고학력자가 많았고 여성보다 남성의 비중이 높았습니다. 나이대는 실제로도 5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다른 취미활동은 모르겠지만 골프와 같은 개인 스포츠는 아무래도 기본 장비, 그린피, 캐디피, 카트비 등 돈이 많이 들어가는 운동이기 때문에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즐길 수 있는 스포츠여서 고학력자와 경제적 여유가 있는 남성 환자의 비중이 높은 것도 어느 정도 설득력은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렇다면 골프장 관리를 하시는 분들에서 루게릭 발병률이 더 많아야 하는 것 아닐까? 하는 다른 생각도 해봅니다. 

 

루게릭 병의 신약, 약물 치료제, 관리, 예후 등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루게릭병? ALS? 원인, 증상, 치료

루게릭병은 중추신경계(뇌와 척수)의 운동신경 세포에 이상이 생기는 희귀 질환입니다. 이는 근력 약화와 근육 위축, 언어장애, 호흡근 약화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이번

jisik-power.tistory.com

 

 

함께 보면 좋은 자료

▼ ▼ ▼

 

 

골프 코어 운동법

 

드라이버 멀리 치는 골프 코어 운동법

3월이면 골퍼들은 슬슬 다가오는 라운드에 가슴이 뛰기 시작합니다. 이번 시즌에도 계속해서 라베를 써 내려가야 하겠죠!! 골프에서 흔히 하는 말 'Drive for the show, putt for the money' 많이들 들어보

jisik-power.tistory.com

 

필라테스와 요가의 차이

 

필라테스와 요가의 차이는? 기구 없이 시행하는 필라테스 기본 운동법

필라테스는 몸의 균형을 맞추고 근육의 힘과 유연성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춘 운동법입니다. 흔히 원목으로 된 기구 등을 이용하는 운동으로만 알고 계신 경우가 많은데요. 사실 근육 강화, 코

jisik-power.tistory.com

 

상지 근육 운동법

 

노인과 여성을 위한 상지 근육(아령, 덤벨)운동 방법

다리 근육은 이동성과 안정성이 목적이라면 팔, 등, 가슴, 어깨 근육은 운동성을 목적으로 하는 근육들로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근육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걷기 등 저강도의 유산소

jisik-power.tistory.com

 


이상으로 한참 이슈몰이 중인

골프 많이치면 루게릭 걸린다는

내용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아는 것이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