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의학 관련 지식

척추 협착증. 60대 이상, 오래 걷지 못하고 중간중간 쉬어가야 한다면,,

by 베프가이 2023. 12. 15.

척추 협착증 혹은 척추관 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척추 신경을 둘러싸는 척추관의 벽이 좁아지며 발생하는 일종의 노인성 질환입니다. 특히 60대 이상 어르신에서 한 번에 오래 걷지 못하고 허리통증이나 다리 저림으로 중간에 쉬었다 걷는 분들은 척추 협착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한 번에 걸을 수 있는 시간이 30분, 20분, 10분, 5분 등으로 점점 짧아진다면 진행하고 있다는 뜻이니 하루빨리 검진을 통해 정확한 원인 파악과 치료를 해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척추 협착증의 증상과 치료, 수술, 운동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추 협착증. 60대 이상, 오래 걷지 못하고 중간중간 쉬어가야 한다면,,
척추 협착증. 60대 이상, 오래 걷지 못하고 중간중간 쉬어가야 한다면,,

 
 

[목차]
척추 협착증? 원인은?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
척추관 협착증 운동

 
 

척추 협착증? 원인은?

Spinal stenosis 척추 협착증 혹은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불리는 이 질환은 척추 안에 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 압박에 의해 허리통증, 다리 저림, 근력약화 심해지면 배변, 배뇨장애까지 올 수 있는 질환으로 노화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이 대부분이며 척추 측만증이나 사고로 인한 외상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 협착증? 원인은?
척추 협착증? 원인은?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골다공증과 새로운 뼈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척추뼈가 두꺼워짐
  • 척추관 주변에 뾰족한 골극 형성
  • 척추사이를 잡아주는 후종인대(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혹은 황색인대(Yellow ligament)가 두꺼워짐
  • 인대가 단단해지고 골화되는 후종인대 골화증 발생
  • 디스크에 의한 척추관 압박
  • 척추 측만증에 의한 퇴행성 변화
  • 외상으로 인한 골극 형성이나 척추관 압박
  • 척추관 주변에 생긴 종양

 
이러한 증상은 목과 허리에 주로 발생합니다. 목에 발생하는 것을 경추 척추관 협착증, 허리에 발생하는 경우를 요추 척추관 협착증이라 합니다. 
척추관 협척증은 주로 요추에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이 경추이고 흉추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요추에서도 L4-5 > L3-4 > L2-3 순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

척추관 협착증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증상이 발현되는 퇴행성 질환입니다. 대부분 60대 이상에서 나타나며 여성에게서 조금 더 많이 발생합니다. 우리나라도 2025년부터는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 되는 '초고령 사회' 진입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퇴행성 질환에 의한 척추질환 환자들은 앞으로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어르신들은 '허리가 굽는 병' 혹은 '꼬부랑 할머니/할아버지 병'이라고도 합니다. 노화에 따라 서서히 발생하고 통증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며 증상을 키우는 경우가 많아 다음 특징들을 잘 확인하고 증상이 있다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등에서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때는 증상이 없다가 조금만 걸으면 다리 통증이 나타난다. 
  • 앉았다가 일어날 때 허리가 바로 펴지지 않는다. 
  • 서거나 걸을 때 다리 저림 증상이 있다. (방사통) 
  • 앉아있을 때보다 서있거나 걷는 것이 불편하다.
  • 만성 허리통증이 있다. 
  • 허리를 펴면 아프고 구부리면 안 아파 계속 허리를 구부리게 된다. 
  • 다리에 힘이 빠진다.
  • 허리통증이나 다리 저림으로 걷다가 중간중간 쉬어간다. (간헐적 파행)
  • 한 번에 30분 걷다 쉬어가는 것이 20분, 10분 등 점차 짧아진다. (협착증 진행)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

대부분의 환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의 보존적 방법으로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증상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비수술적 시술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 비수술적 방법
척추관 협착증 비수술적 방법

 

  • 신경차단술(신경주사, 프롤로 주사) : 압박되어 있는 신경 주변에 직접 약물을 주입해 염증을 치료, 통증 완
  • 경막외강 신경 성형술 : 꼬리뼈 주위에 얇은 관을 삽입하여 신경의 염증을 긁어내고 약물을 주입
  • 풍선확장술 : 얇은 관 끝에 달린 풍선을 확장하여 협착부위를 넓히고 약물을 주입하는 시술

 
비수술적 치료나 시술에도 호전이 없고 마비가 진행되어 일상생활을 방해한다면 수술적 치료는 불가피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수술 비용은 대략 500 ~ 800만 원이라고 합니다. 이후 입원비, 간병비등을 합하면 더 나올 수 있습니다. 
병원에 따라, 집도하는 의사에 따라 수술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니 2, 3곳의 병원에서 진료를 보고 경험 많고 신뢰가 가는 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척추관 협착증 수술적 방법
척추관 협착증 수술적 방법

 

  • 후궁절제술
  • 후궁성형술
  • 척추유합술
  •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감압술, 나사고정술 등) 

 
최근에는 병변의 크기에 맞게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로 출혈과 주변 조직의 손상 정도를 줄여 회복기간을 줄이고 후유증도 크게 남지 않는 3세대 수술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1cm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을 뚫어 디스크나 뼈 조각을 잘라내 신경압박 원인을 제거하는 감압술이나 척추 관절을 나사로 고정하는 '나사고정술'도 내시경과 수술 기구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손톱만 한 게' 척추 수술 흉터라고? 획기적으로 작아지는 수술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 후 남은 흉터/ 연세건우병원 제공 척추 수술이 획기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수술 때 피부와 근육을 10cm 이상 절개했지만 지금은 ‘구멍’을 뚫는 수준이다. 수

health.chosun.com

 

척추관 협착증 운동

척추관 협착증 증상
척추관 협착증 증상

 
협착증이 생기는 원인은 앞쪽의 튀어나온 디스크나 뒤쪽의 두꺼워진 인대 혹은 주변 골극이나 종양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자마다 허리의 자세에 따라 구부렸을 때 척추관 공간이 늘어나면서 증상이 완화되기도 하고 반대로 허리를 폈을 때 증상이 완화되는 분들도 있습니다. 정확한 영상 검사를 통해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어떤 동작이 증상을 완화시키는지 확인 하고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하면 증상을 더욱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허리를 구부리고 펴는 것에 상관 없이 척추관 협착증에 안전한 운동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골반 후방경사 운동

골반 후방경사 운동
골반 후방경사 운동

 

  • 편안하게 바로 누운 자세에서 무릎은 구부려줍니다. 
  • 등은 바닥에 붙은 상태에서 엉덩이 아래쪽을 살짝 들고 배꼽을 당기는 느낌으로 골반이 위로 올라온다는 느낌의 운동을 10회 시행합니다. 

 

2. 가슴쪽으로 무릎 당기기, 척추 회전 운동

가슴쪽으로 무릎 당기기, 척추 회전 운동
가슴쪽으로 무릎 당기기, 척추 회전 운동

 

  • 한쪽 무릎을 잡고 당겨주며 움직임 끝범위에서 10초 정도 유지합니다. 
  • 익숙해지면 양쪽 무릎을 잡고 같은 방법으로 시행합니다. 
  • 무릎을 가슴을 당기는 동안 배꼽을 뒤로 당겨 등이 바닥에 붙어있도록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손으로 무릎 잡기가 어려운 분들은 수건을 무릎 밑에 넣고 시행하시면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세 번째는 양팔을 벌리고 편안하게 무릎을 세운 자세에서 천천히 좌우로 움직이며 척추의 움직임을 만들어 줍니다. 
  • 끝범위에서 10초정도 유지하며 10회 반복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척추관 협착증이어도 아래와 같이 과도하게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는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협착증 환자들은 60세 이상의 고령 환자분들이 대부분인 만큼 구부리는 자세는 오히려 추가적인 디스크 손상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척추관 협착증 운동 주의
척추관 협착증 운동 주의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협착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운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3. 엎드려 허리 펴기(반만)

엎드려 허리 펴기(반만)
엎드려 허리 펴기(반만)

 

  • 엎드린 자세에서 팔은 완전히 펴지 않고 팔꿈치 정도만 지지하여 허리를 펴면 됩니다. 
  • 마지막 자세에서 3~5초 유지하고 10회 반복합니다. 
  • 허리가 굽은 상태로 고착된 환자분은 배에 쿠션을 깔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4. 고양이등자세

고양이등자세
고양이등자세

 

  • 골반과 전반적인 척추 유연성에 도움이 되는 자세입니다. 
  • 네발자세에서 시작하며 고개를 숙이며 등을 최대한 뒤로 볼록하게 말아주세요.
  • 반대로 배와 가슴을 앞으로 내밀면서 고개는 위로 들어줍니다. 
  • 척추 협착증 증상이 완화되는 자세가 있다면 그 자세 위주로 진행하면 됩니다. 
  • 천천히 10회 반복합니다. 

 

5. 허리 뒤로 젖히기

허리 뒤로 젖히기
허리 뒤로 젖히기

 

  • 허리가 구부정한 상태로 고착된 환자분들은 이 동작을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증상 초기의 환자분들은 수시로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추의 척추관 협착증이 있는 환자분들은
아래 "거북목 교정운동"의 방법으로 운동하시면 됩니다. 
 
경추 척추관 협착증 운동, 거북목 교정운동

 

어깨가 자주 뭉치고 뻣뻣하다면,, 거북목? 교정운동은?

출퇴근 시간 버스, 지하철 안에서 스마트폰 보는 자세, 업무 중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 나의 자세가 어떤지 생각해 보셨나요? 우리 아이 책가방 메고 등교하는 자세는 어떤가요? 유난히 양쪽 어깨

jisik-power.tistory.com

 
 
 

함께 보면 좋은 자료
▼ ▼ ▼
 
 
강직성 척추염

 

젊은남성, 엉치와 허리 아래쪽 통증, 눈의 잦은 충혈? 강직성 척추염?

10대 후반에서 40대까지 젊은 남성에서 엉덩이(엉덩이) 쪽 통증이나 허리 아래쪽 통증이 잦고, 아침에는 허리가 뻣뻣하다가 오후가 되면 괜찮아지는 증상이 있는 분들은 한 번쯤 검사를 받아보는

jisik-power.tistory.com

 
일상돌봄 서비스

 

일상돌봄 서비스(돌봄이 필요한 중장년층, 가족돌봄청년)

보건복지부 주관 각 시범사업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중장년층과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일상돌봄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시범사업 지역 내 대상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니

jisik-power.tistory.com

 
집에서 하는 근력운동

 

회복기 맨몸운동. 집에서 근력운동 하기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거나 앉아서 하는 업무가 많은 분들은 활동량이 줄어들면서 배가 나오고, 살이 찌고, 근육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특히 암이나 신경계 질환, 기타 근골격계 질환 등

jisik-power.tistory.com

 


이상으로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본인 혹은 부모님의 평소 자세와
증상들을 잘 살펴보시고
꾸준한 운동과 조기 대처로
건강한 노후 보내시기 바랍니다.
 
 
아는 것이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