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의학 관련 지식

무릎에서 뚝! 전방십자인대 손상. 증상과 수술 후 재활 방법은?

by 베프가이 2024. 11. 25.

십자인대는 말 그대로 인대 두 개가 십자형태로 교차하여 무릎 안쪽에 위치한 구조물입니다.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를 일컬어 십자인대라 하며 무릎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많고 축구경기시 무릎에 가해진 태클이나 스키를 타다 넘어질 때 혹은 무릎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손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기전과 증상 그리고 수술 후 재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릎에서 뚝! 전방십자인대 손상. 증상과 수술 후 재활 방법은?

 

 

 

[목차]
무릎에서 '뚝'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전방십자인대 검사법

 

 

무릎에서 '뚝'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전방십자인대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후방십자인대 Posterior Curciate Ligament, PCL

 

전방십자인대는 말 그대로 무릎 안쪽에서 앞쪽에 위치한 인대를 말합니다. 대퇴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무릎이 앞으로 밀리는 동작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자동차 사고에서 대시보드에 의해 대퇴골이 뒤로 밀리거나 운동 중 갑작스러운 방향전환, 무릎이 뒤틀리는 상황에서의 손상, 스키, 럭비, 축구 등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손상입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무릎의 대표적인 손상이며 특히 젋은 여성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 검사법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의심가는 경우 시도해 볼 수 있는 검사는 '라크만 검사(Lachman's test)'라고 하여 무릎을 30도 정도 구부린 상태에서 무릎 아래쪽을 앞으로 당겼을 때 5mm 이상 앞으로 밀린다면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인대 손상시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증상]

  • 무릎에서 '뚝', '팝' 등의 끊어지는 소리
  • 무릎의 심한 붓기
  • 무릎 주변 열감
  • 붉은 색으로 피부색 변화
  • 심한 멍
  • 심한 통증으로 일어서지 못하고 다리를 딛지 못함

 

일반적으로 인대가 끊어지는 경우 '뚝', '딱', '팝' 등의 소리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 이후 무릎이 부어오르고 빨개지며 1시간이 지나도 다리를 딛고 서거나 걷지 못할 경우 응급실에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 기전

 

대부분의 전방십자인대는 비접촉성 손상입니다. 다시 말하면 외부 충격 보다는 혼자 방향전환을 하거나 넘어지면서 다치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여성들에 있어서 무릎이 안쪽으로 모이는 'X'자 형 다리이거나 어렸을 때부터 'W'모양의 앉는 자세를 많이 하는 경우 전방십자인대가 늘어나있거나 약해진 경우가 많아 운동을 하면서 무릎이 뒤틀리며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CLR

 

손상되거나 끊어진 인대는 스스로 재생되지 않습니다. 

통증이 없고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다면 경과관찰을 하며 그대로 지내기도 하지만 나이가 젊고 업무 복귀와 일상 운동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끊어진 인대를 다시 잇고 재활운동을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전방십자인대가 끊어지면 이를 이어주는 수술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이라 하며 본인의 대퇴건을 잘라 이식하기도 하며 다른 사람의 십자인대를 이식하기도 합니다.(Allo graft)

본인의 대퇴건을 잘라 이식하는 경우 허벅지 근육의 약화가 발생할 수 있고 수술과 회복의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다른 사람(dead body)의 십자인대를 이식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며 회복은 빠르지만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수술 후 재활은?

관절 기인성 근육 억제(Arthrogenic Muscle Inhibition, AMI)
관절 기인성 근육 억제(Arthrogenic Muscle Inhibition, AMI)

 

전방십자인대 손상 후에는 관절 기인성 근육 억제(Arthrogenic Muscle Inhibition, AMI)라고 하여 다치고 통증이 심한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 대퇴사두근이 경직되며 뻣뻣해집니다. 그로 인해 허벅지 앞쪽 근육인 대퇴사두근은 일을 하지 않게 되고 허벅지 뒤쪽 근육인 햄스트링 위주로 움직임이 나타나기 때문에 손상 후 무릎이 끝까지 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특히 전방십자인대 수술 후에는

무릎을 펴는 운동을

초기부터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무릎 펴기 운동은 대퇴사두근 세팅 운동이라고 하여 Quadriceps setting exercise, Q-setting 운동이라고 합니다. 

 

대퇴사두근 세팅 운동

 

  • 발목을 올리며 무릎은 바닥 방향으로 누르고 10~20초 유지하는 것을 10회 반복합니다. 
  •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건이나 베개를 말아 무릎 밑에 받치거나 발목 밑에 받치고 시행하여도 좋습니다. 

 

앉은 자세에서 무릎 펴는 운동

 

  • 다음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발에 수건이나 고무밴드 등을 걸고 발등쪽으로 당기며 무릎을 펴주는 운동을 시행합니다. 

 

발목 펌프 운동

 

  • 수술한쪽 발목을 힘주며 올렸다 내렸다 반복하는 발목 펌프 운동(Ankle pump exercise)을 하는 것도 순환을 증진시키고 부기를 빼주며 근력을 유지하는 좋은 운동입니다. 

 

수술한쪽 다리 들기 운동

 

  • 수술한쪽 근육의 강화를 위해 좋은쪽 무릎을 구부리고 무릎을 편 상태로 다리를 드는 운동을 시행합니다. 
  • 10회씩 3세트 시행하면 됩니다. 

 

위 운동은 무릎 수술후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초기 재활운동입니다.

통증을 참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수시로 진행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되며 

운동 후 통증이 심해지거나 근육이 뻐근하다면

횟수를 줄여 시행하시면 됩니다. 

 

 

무릎 수술에 따라 '새로 이식한 전방십자인대가 자리 잡을 때까지 3~6주 정도'는 무릎을 과도하게 구부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식한 인대나 고정 방법에 따라 안정을 갖는 기간은 다를 수 있으므로 수술한 의사와 치료사의 가이드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일반적인 운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 목표

 

  • 수술 첫 주 부터 무릎 보조기를 차고 양쪽 목발을 이용한 보행이 가능하며 초기에는 무릎의 완전한 펴기, 부종 및 통증 감소, 주변 근육 강화를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 이후 이식한 전방십자인대가 안정이 되면 무릎 각도의 정상화를 목적으로 일명 '무릎꺾기'를 시행합니다. 
  • 도수치료를 통한 무릎 각도를 만들 수 있으며 CPM 기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이후 치료사의 역량에 따라 체중지지 훈련과 근력강화 훈련, 고유수용성 감각 자극 훈련, 기능훈련 등을 시행하며 일상으로 복귀와 스포츠 복귀를 목표로 운동을 진행합니다. 

 

수술한쪽 다리의 근력이

정상쪽 대비 70% 정도 회복하면

러닝과 점핑 운동을 통한

기능훈련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전방십자인대의 손상과

수술 후 재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안전하게 운동하고

하루빨리 회복하시기를 바랍니다.

 

 

 

본 블로그는 광고클릭으로 운영됩니다.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 '중간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자료

▼ ▼ ▼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실비?

 

물리치료/도수치료, 체외충격파치료 실비 알아보기(feat. 비급여진료비)

비급여진료비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의료 서비스 항목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도수치료, 특정 주사치료, 선택적 진료나 검사, 미용 목적의 시술, 건강보험에서

jisik-power.tistory.com

 

무릎 통증과 운동방법

 

무릎 통증과 운동 방법. 러너스 무릎? 점퍼스 무릎?

신상 러닝화가 출시되면 오픈런으로 금방 품절되는 현상을 뉴스를 통해 접했는데요. 마라톤을 즐기는 인구가 부쩍 늘었습니다. 러닝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체력과 인내심을 기르며 심장-

jisik-power.tistory.com

 

출렁거리는 허벅지살 빼는 운동

 

출렁거리는 허벅지살을 빼는 운동은?

출렁거리는 허벅지살은 특히나 많은 여성분들이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평소 허벅지가 두껍거나 단단해 하체 운동을 하면 허벅지가 더 두꺼워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되어 더욱 하체운동

jisik-power.tistory.com

 

 

 

 

 


 

 

 

아는 것이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