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힘빠짐은 없는데 무릎 앞쪽이나 정강이 앞쪽이 저린 경우가 있습니다. 무릎에 가해진 충격 이후 혹은 무릎 수술 이후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인 복재신경의 압박이나 유착에 의한 경우가 많으며 이를 복재신경 포착 증후군 이라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무릎 앞쪽이나 정강이 저림의 원인이 되는 복재신경 포착 증후군과 그 운동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복재신경 포착?
★ 말초신경 포착에 의한 감각이상
★ 디스크성 방사통과 말초신경 포착 증후군
★ 복재신경 포착의 운동법
복재신경 포착?

복재신경은 다리 앞쪽으로 내려오는 대퇴신경의 분지로 슬개골 앞쪽에서 나눠지며 발목까지 내려가게 됩니다.
복재신경은 주로 무릎의 슬개골 아래부터 정강이 안쪽의 피부감각 입력을 담당하고 있으며 위 그림의 파란색 영역에 해당합니다.
포착은 특정 부위에서 압박되거나 손상되면서 신경이 분포하는 부위를 따라 나타나는 통증, 감각이상 등의 증상을 말하며 복재신경 포착(Saphenous Nerve Entrapment)의 경우 무릎 안쪽에서 저림, 따끔거림, 둔한 느낌이나 감각의 소실등이 있습니다.
말초신경 포착에 의한 감각 이상

말초신경의 손상이나 찝힘, 유착 등에 의한 감각 이상은 모든 신경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생하는 신경과 그에 따른 근육, 피부 분절에 따라 진단이 나눠지게 되며 대퇴신경(Femoral Nerve)이나 복재신경(Saphenous Nerve) 등에 발생한 포착 증후군이 일반적인 편입니다.
신경 분지를 따라 어느 피부분절이 저리고 이상감각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원인을 찾아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복재신경 신경포착의 증상]
- 슬개골 하단부 통증
- 정강이 앞쪽을 따라 통증 혹은 저린감, 이상감각
- 걷거나 오랫동안 서있으면 증상이 심해짐
디스크성 방사통과 신경 포착 증후군

디스크의 탈출에 의한 신경 압박으로 다리의 신경 피부분절을 따라 저린감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그 원인을 허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리쪽의 저린감이나 힘빠짐은 요추를 뜻하는 L1 ~ L5, 천추를 뜻하는 S1 ~S5를 따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다리를 타고 내려가는 통증과 힘빠짐이 있다면 허리의 디스크나 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강철병원 X 송파노인종합복지관 건강강좌] 60대 이상에서 흔한 근골격 질환과 의자 운동법
안녕하세요~25년 2월 강철병원과 협력기관인 송파노인종합복지관에서 '60대 이상에서 흔한 근골격 질환과 의자운동법'에 대한 주제로 강의가 있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관련 자료 공유드립니다.
jisik-power.tistory.com
복재신경 포착의 운동은?

위 그림은 다리의 안쪽에서 본 모습입니다. 노란색이 복재신경인 Saphenous Nerve를 나타내고 있고 대퇴부 내측에서 봉공근(Satorius muscle) 안쪽을 지나 무릎에서 앞쪽과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치료방법은
유착된 신경을 떨어뜨리기 위한
"폼롤러 운동"이나
"신경 스트레칭" 방법이 있습니다.
폼롤러 운동


- 대퇴신경과 복재신경을 따라 폼롤러로 마사지를 해주시면 좋습니다.
- 허벅지 앞쪽과 안쪽을 위 그림과 같이 시행하고 네발기기 자세에서 무릎 안과 바깥쪽을 모두 시행합니다.
복재신경 플로싱 스트레칭 운동

복재신경(Saphenous Nerve)는 위 그림과 같이 허벅지 앞쪽에서 안쪽을 타고 내려와 무릎(슬개골) 아래로 한 각닥 그리고 정강이 안쪽을 따라 발목까지 내려가는 신경입니다.
복재신경 신경 스트레칭은 Saphenous nerve flossing stretching 이라고 하며 치실을 사용하여 왔다갔다 하듯 신경을 움직여줌으로써 포착된 신경을 떨어뜨리고 신경의 움직임을 만들어주는 동작입니다. 위 그림의 신경을 최대한 늘리고 줄이는 자세를 만드는 것이 신경 스트레칭 운동 혹은 신경 플로싱 운동이라고 합니다.

- 한 발을 뒤로 뻗어주시고 발끝이 바깥을 향하도록 돌려줍니다. 복재신경의 스트레칭을 위해 수건을 말아 밟고 진행하셔도 됩니다.
- 허리는 반대쪽 옆으로 살짝 기울여줍니다.
- 마지막으로 몸통은 발끝과 반대 방향으로 끝범위까지 회전시켜 줍니다.
- 끝범위에서 10초동안 유지하는 것을 10회 반복합니다.

- 같은 맥락으로 위와 같이 시행하여도 좋습니다.
가정운동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
정형외과에서 주사치료나
한의원에서 전기 침치료를 받기도 합니다.
본 블로그는 광고클릭으로 운영됩니다.
내용이 도움되셨다면 '중간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자료
▼ ▼ ▼
오다리 교정운동과 근위경골절골술
오다리 교정운동 그리고 HTO 근위경골절골술
오다리!! 오자형 휜다리는 의학용어로는 내반슬(Genu varum)이라고 하며 무릎의 중심이 정상 위치에서 바깥으로 벗어나 'O'자 모양으로 휘어진 상태를 말해 오(O)다리라고 합니다. 젊었을 때는 다리
jisik-power.tistory.com
슬개골 골절? 재활운동은?
슬개골 골절? 재활운동은 어떻게?
겨울철 낙상 사고는 흔히 발생합니다. 보통은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꼬리뼈나 척추 압박골절, 손목 골절 등을 입을 수 있는데요. 무릎부터 넘어지게 되는 경우 은근히 슬개골 골절도 많이 발생합
jisik-power.tistory.com
도수치료, 체외충격파치료 실비
물리치료/도수치료, 체외충격파치료 실비 알아보기(feat. 비급여진료비)
비급여진료비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의료 서비스 항목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도수치료, 특정 주사치료, 선택적 진료나 검사, 미용 목적의 시술, 건강보험에서
jisik-power.tistory.com
이상으로 복재신경 포착에 의한
이상감각 증상과
이에 적절한 신경스트레칭
운동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는 것이 힘!!
'건강 의학 관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통증의 원인과 3단계 무릎 운동 방법은? (2) | 2025.04.02 |
---|---|
봄에 자주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은? (5) | 2025.03.28 |
오다리 교정운동 그리고 HTO 근위경골절골술 (5) | 2025.03.03 |
[강철병원 X 송파노인종합복지관 건강강좌] 60대 이상에서 흔한 근골격 질환과 의자 운동법 (5) | 2025.02.17 |
슬개골 골절? 재활운동은 어떻게? (26) | 2025.01.02 |